일을 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많은 감정들의 흐름에 휩싸이게 된다.
때로는 즐겁고, 때로는 짜증나고, 때로는 무료하기도 하며,
때로는 화가 나기도 한다.
그런데 이 많은 감정들 중에 유독 통제하기 힘든 게 바로 '화'라고 생각한다.
특히 한 번 치밀어 오르면 겉잡을 수 없이 타오르는 '화'는 정말 '화(火)'와 닮았다.
톨스토이는 '분노, 그 자체가 해롭다'고 할 정도로 어떠한 정당성을 갖고 화를 내어도
화를 내는 본인에게 해로운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인간은 왜 화를 내는 것인가?
그 이유가 확실치는 않지만 대부분 아래의 11가지의 이유로 요약이 된다.

■ 혐오감의 전달
그 사람은 평소 당신이 마음에 안 들었다.
이번 실수를 계기로 화를 냄으로써 보통 때의 생각을 표현하고 있다
■ 단순한 앙갚음
그 사람은 당신이 저지른 실수로 자기가 당한 것을 앙갚음하고 싶은 것이다
■ 과거의 언동에의 앙갚음
그 사람은 지금의 실수만이 아니라 당신은 이미 잊어먹었을 수도 있는
과거의 언동에 불만이 있었다. 또한 당신과는 달리 그 사람은 그것을 가슴속에 품고 있었고,
그것이 이번 계기로 폭발한 것이다
■ 관계의 해소
그 사람은 이 실수를 계기로 당신과의 관계를 아예 끊고 싶은 것이다.
그것을 분노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 체면유지
그 사람은 자신은 그런 실수를 결코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자신은 당신보다 우월한 존재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 당하면 자존심 상한다
■ 자신을 위한 행동의 통제
그 사람은 자기를 위하여 당신의 행동을 바꾸고 싶은 것이다.
당신은 이런 실수를 되풀이하는 한 자기에게도 나쁜 영향이 올 수밖에 없기 때문에
당신의 행동을 바꾸려는 것이다
■ 당신을 위한 행동의 통제
그 사람은 당신을 위해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해, 당신의 특정한 행동을 바꾸고 싶어 하는 것이다.
이런 실수를 거듭하면 당신이 사람되기 어렵다고 판단해
당신이 다시는 이런 실수를 저지르지 않도록 따끔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 개인적인 기대
그는 화내는 것으로써, 당신에게 어떠한 일을 시키고 싶었다
■ 관계강화
그는 당신과의 관계를 강하게 하고 싶은 것을 화를 내는 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 책임회피
당신을 위해 해주고 싶은 것이 있었지만, 당신의 이번 실수로 하고 싶은 마음이 사라져,
그것으로부터 피하려는 것이다.
이런 실수를 저지르는 넘에게 더 이상 해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 울분의 토로
그는 이번 당신이 저지른 실수와는 상관없이
평소의 자신의 욕구불만이나 울분을 토로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당하는 입장으로서는 사실 제일 더럽다.
자....화가 나십니까?
이유를 분문하고, 마법의 주문 '알이즈웰'을 외쳐봅시다...
때로는 즐겁고, 때로는 짜증나고, 때로는 무료하기도 하며,
때로는 화가 나기도 한다.
그런데 이 많은 감정들 중에 유독 통제하기 힘든 게 바로 '화'라고 생각한다.
특히 한 번 치밀어 오르면 겉잡을 수 없이 타오르는 '화'는 정말 '화(火)'와 닮았다.
톨스토이는 '분노, 그 자체가 해롭다'고 할 정도로 어떠한 정당성을 갖고 화를 내어도
화를 내는 본인에게 해로운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인간은 왜 화를 내는 것인가?
그 이유가 확실치는 않지만 대부분 아래의 11가지의 이유로 요약이 된다.

■ 혐오감의 전달
그 사람은 평소 당신이 마음에 안 들었다.
이번 실수를 계기로 화를 냄으로써 보통 때의 생각을 표현하고 있다
■ 단순한 앙갚음
그 사람은 당신이 저지른 실수로 자기가 당한 것을 앙갚음하고 싶은 것이다
■ 과거의 언동에의 앙갚음
그 사람은 지금의 실수만이 아니라 당신은 이미 잊어먹었을 수도 있는
과거의 언동에 불만이 있었다. 또한 당신과는 달리 그 사람은 그것을 가슴속에 품고 있었고,
그것이 이번 계기로 폭발한 것이다
■ 관계의 해소
그 사람은 이 실수를 계기로 당신과의 관계를 아예 끊고 싶은 것이다.
그것을 분노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 체면유지
그 사람은 자신은 그런 실수를 결코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자신은 당신보다 우월한 존재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 당하면 자존심 상한다
■ 자신을 위한 행동의 통제
그 사람은 자기를 위하여 당신의 행동을 바꾸고 싶은 것이다.
당신은 이런 실수를 되풀이하는 한 자기에게도 나쁜 영향이 올 수밖에 없기 때문에
당신의 행동을 바꾸려는 것이다
■ 당신을 위한 행동의 통제
그 사람은 당신을 위해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해, 당신의 특정한 행동을 바꾸고 싶어 하는 것이다.
이런 실수를 거듭하면 당신이 사람되기 어렵다고 판단해
당신이 다시는 이런 실수를 저지르지 않도록 따끔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 개인적인 기대
그는 화내는 것으로써, 당신에게 어떠한 일을 시키고 싶었다
■ 관계강화
그는 당신과의 관계를 강하게 하고 싶은 것을 화를 내는 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 책임회피
당신을 위해 해주고 싶은 것이 있었지만, 당신의 이번 실수로 하고 싶은 마음이 사라져,
그것으로부터 피하려는 것이다.
이런 실수를 저지르는 넘에게 더 이상 해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 울분의 토로
그는 이번 당신이 저지른 실수와는 상관없이
평소의 자신의 욕구불만이나 울분을 토로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당하는 입장으로서는 사실 제일 더럽다.
자....화가 나십니까?
이유를 분문하고, 마법의 주문 '알이즈웰'을 외쳐봅시다...